[학술논문] 경계 넘기(border-crossing)로서의 중학교 교육 경험과 구성적 정체성 형성 : 북한배경학생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출생지를 막론하고드러나는 북한배경 중학생들의 다층적 경계 넘기의 특징을 통해 제도적 경계의 한계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북한이라는공간과 관계맺는 정체성 형성의 특징이 드러났다. 둘째, 중학교라는 학교급을 반영한 경계넘기의 특징이 사교육이라는경제적 경계와 새로운 학교급으로의 이동이라는 경계, 그리고 학부모의 사회적 자본의 한계로 인한 진로 및 진학설계의어려움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가정과 학교의 두터운 문화적 경계를 넘나드는 가운데 가정의 문화를 선택적인 범주안에서 공유하거나 제한하는 북한배경학생들의 정체성 형성의 특징이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이주
배경
학생의 하나로 북한배경학생을 고려할 때 공간적 경계를 넘어서는 정책적 관점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시사점을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