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曉風’이 불지 않는 곳: 염상섭의 『無風帶』 연구
...면모를 보였던 염상섭은 이후 단선저지에 실패하는 등 분단극복 희망이 보이지 않자 점점 현실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그의 현실 인식 변화가 제목에 암시적으로 기입되어 있다. 『무풍대』는 『효풍』과 유사하게 이중의 삼각관계를 서사의 중심에 놓고 있다. 여의사 원영을 중심으로 하여 식량영단 사원인 기창과 검사 명호 사이의 삼각관계를 서사의 한 축으로 하고, 기창의 전처인 정임과 기창, 원영 사이의 또 다른 삼각관계를 다른 한 축에 놓고 있다. 그리고 서사적 갈등의 중심에는 정치적 입장의 차이로 인해 위기에 놓인 정임과 기창의 부부관계를 중심에 놓고 있어 염상섭의 「離合」, 「再會」 등의 다른 해방기 소설들에서와 같이 이념 대립을 젠더적 관계로 전유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효풍』에서 혜란의...
[학술논문] 김원일의 『노을』에 나타난 ‘죽은’ 아버지의 귀환과 이중 서사 전략
...겉으로는 사회주의만을 비판하는 것으로 여겨지나 궁극적으로는 남한의 이데올로기가 가진 폭력성까지 드러낸다. 또한 소년의 눈에 비친 아버지의 이미지와 중년 갑수의 회상에서 드러난 김삼조의 이미지를 불일치시켜 인위적으로 서사에 균열을 만들기도 한다. 소설의 마지막에 이르러, 이전에 제시했던 백정 김삼조의 이미지를 교정함으로써 그동안 이데올로기의 유령으로 배제되었던 아버지를 사회주의자로써 역사적 차원에 배치시킨다. 요컨대 노을은 ‘아버지와의 개인적 화해’라는 표면적인 서사가 절정에 이를수록 아이러니하게 ‘폭력적인 사회주의자였던 백정 아버지’의 이미지를 교정시키는 양상도 강화되는 이중 서사 전략으로 ‘죽은’ 아버지를 다시 한국의 역사 속에서 불러내고 있다.
[학술논문] 1970년대 간첩/첩보 서사와 과잉 냉전의 문화적 감수성
...체험담을 기반으로 한 논픽션으로서의 간첩/첩보서사는 비단 분단 현실에서 비롯된 간첩뿐만 아니라 1,2차 세계대전부터 냉전시기를 통해 국제적 활약을 한 스파이들까지 아우르면서 생산, 유통되었다. 그 중에서도 대중문화에 가장 빈번히 등장한 것은 여간첩, 전향간첩, 이중간첩에 대한 서사였다. 이들 서사는 역사주의, 체험자의 명시, 젠더화 전략 등에 의해 구조화되고 극화되었는데, 특히 에로티시즘과 엑조티시즘을 기반으로 연민과 애증을 동시에 함유하는 반북오리엔탈리즘이 엿보인다. 이러한 서사전략은 냉전시기 구미의 간첩/첩보서사와 일정정도 성격을 공유하면서도 그것에 비해 ‘적’과의 직접 접촉에서 오는 매혹과 두려움을 더 많이 표출한다. 따라서 간첩/첩보서사는 단지 배제의 서사인 것이 아니라 북한에 대한...
[학술논문] 총대' 서사의 젠더 이데올로기
...‘총대’ 서사는 김일성을 구국의 영웅으로 신격화하며남성 중심으로 권력이 이양되는 백두혈통의 신화를 구축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두 여성, 김일성의 어머니 강반석과 아내 김정숙은 이중적 여성상으로 그려졌다. 그녀들은 김일성을 결사옹위하며 구국활동을 하는 혁명적인 여성이자 남성을 위해 존재하는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나아가 ‘총대’ 서사에서의 두 여성상은 북한 사회가 국가적 어려움에처할 때마다 인민을 통치하며 가부장사회를 공고히 하는 기능적인 통치의 기제로 나타났다. 북한의 ‘총대’ 서사가 고구한 전략은 부계혈통의 가부장질서를 강조하며 동시에 여성 위계화의 통치전략을 띠었다. 따라서북한의 ‘총대’ 서사는 혈통 중심으로 계승되는...
[학술논문]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삶이 문학 속에서 재현되고 있다. 그동안 다문화소설연구는 재현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전략에 치우친바 본고는 서사구조, 갈등양상, 이주자 묘사 및 상징기법, 공간적 특징 등 형식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다문화서사구조는1990년대 여행서사와 2000년대 이주서사가 결합된 ‘디스토피아적 여행서사’ 구조를 지닌다. 동화와 소외, 억압과 폭력이 중심주제인 다문화서사는 탈북디아스포라와 이주여성이 등장하는 인신매매·이주매춘서사, 결혼이주여성이 출현하는 여성수난(잔혹)서사, 이주노동자가 나타나는 에스닉노동·제노포비아서사 그리고 다문화가정 2세의 성숙을 그린 다문화성장서사 등 다채로운 서사구조를 지님으로써 소설지형을 넓히고 있다. 둘째, 갈등양상에있어서는, 자국민과 이주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