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후 재일코리안 청년 학생 운동의 성격-민단계 청년 학생 운동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재일 코리안 청년 학생 운동의 발자취, 목표, 내용을 토대로 그 성격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재일코리안 조직을 대중조직, 청년조직으로 나누어 그 발자취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재일코리안 운동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1945년 일본 패전 이후 한반도는 국제정치 환경에 휩쓸리면서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다. 재일코리안 조직도 그 영향을 받아 남한을 지지하는 민단과 북한을 지지하는 총련으로 분열되고 청년 학생 조직도 분열이 되었다. 한편 남한을 지지하는 민단계열의 청년 학생 조직은 대한민국의 정세에 영향을 받아 다시 분열되었다. 1960년 4.19 학생 혁명 성공을 계기로 조직을 정비한 청년 학생 조직은 한반도 정세를 비롯한 대한민국의 정치에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고 5.16 군사쿠데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자신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