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전쟁 서사의 모빌리티와 여성/자연의 (초)시간성 - 최인훈의 『태풍』(1973);4·15 문학창작단의 『피바다(血海)』(1973) 간 비교를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7·4 남북 공동 성명(1972)·6·23 평화통일 외교 정책 선언(1973) 직후 남한에서 출간된 최인훈의 장편소설 『태풍』(1973), 북한에서 출간된 4·15 문학창작단의 장편소설 『피바다(血海)』(1973)의 전쟁 서사에 형상화된 남성 주체와 여성/자연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가상 역사’의 기법이 창출하는 경계 횡단과 시공간 변형의 양상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남북한 남성 주체의 이동이 초시간적/비역사적 과거로서 부동하는 것으로 위치지어졌던 여성/자연과의 교섭을 통해 타자의 역사성과 모빌리티 역량을 인지하는 한편, 남성적 근대/여성적 자연이라는 대립항을 횡단하여 타자의 시간적 침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