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이황 철학 연구 ‒객관적 관념론에서 신학적 관념론으로‒
...북한의 연구에서
이황 철학은 1960년 이래로 봉건 도덕 윤리를 옹호하기 위해 고안된 관념론이면서도인식론의 차원에서 대상 세계의 실재함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객관적 관념론”으로 평가된다. 2010년 간행된 조선철학전사에서
이황 철학은 “신학적 관념론”이라는 용어를 통해 “극단적인 관념론”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는
이황철학의 인식론이 “신비적 직관[神悟]”을 방법으로 한다는 해석, 그리고 동아시아관념론을 발전사적으로 바라보며 주희 철학의 관념론적 사유가
이황 철학에 이르러 완결성을 갖추게 되었다는 철학사적 이해가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변화가 기존의 철학사 서술과 비교할 때
이황 철학의 원전과 개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