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학에서 집단전기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방법론이 전혀 없지는 않았다. ‘기록의 나라’라 칭해지는 조선시대만 하더라도, 풍부하고 다양한 종류의 집단전기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 자료들은 첫째,
인명록과 같이 특정 범주에 속하는 인물군 전체의 정보를 망라하려 시도한 인물지(人物志), 둘째, 편찬자의 주관적 판단 아래 특정한 이념 및 기준에 부합하는 인물들을 추려내어 수록한 인물전(人物傳)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근대 이후 성립된 위인전집류 또한 수록 인물의 선정 과정 및 그들에 대한 평가를 통해 편찬자의 역사관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서 및
인명록 등을 기반으로 한 전형적인 집단전기학과는 또 다른 차원의 집단전기학을 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자료들은 학술적 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려운 지역 혹은 시대, 예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