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오체르크와 실화문학의 계보
북한에서 오체르크에 관해 최초로 소개하였던 문학평론은 1952년 12월, 6.25전쟁이 한창이던 때, 조선문학의 전신인 문학예술에 실린 리효운의 「문학 장르 오-체르끄에 관하여」였다. 김일성의 외사촌동생 강능수는 1958년 6월의 평론 「오체르크 문학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문제」에서 초상 오체르크를 인물 오체르크로 바꾸어 명명하고, 이것이 북한문학에서 중심되는 오체르크라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물 오체르크를 실화문학이 계승하는 제반특징들은1961년 9월 최일룡의 평론 「실화 문학에 대한 생각」에서 설명된다. 즉, 오체르크는 첫 번째도입 시기, 초상 오체르크를 인물 오체르크로 명명한 시기, 실화문학으로 바뀌게 된 시기로북한 문학사에서 도입 이후 두 번의 전환을 맞았던 것이다. 첫 번째 도입의 시기에서는 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