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마당,여성,음식: 고난의 행군 이후 여성의 장마당 참여와 ‘인민음식’의 창출
...행위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장마당 음식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음식의 개발과 판매, 소비는 그들의 생활문화에서 세대간 전승된 조리법과 제한된 식재료를 활용한 여성들의 창발성에 기인된 결과였다. 또한 이들의 음식만들기 실천은 국가 배급망 붕괴에 대한 대응의 의미와 함께 두부밥을 비롯한 다양한 ‘
인민음식’을 창출하는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장마당에서 대중화된 ‘
인민음식’은 북한 체제에 의해 진흥된 ‘민족음식’이라는 공식담론과 경합해 가며 북한 인민의 생활문화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고난의 행군을 계기로 형성된 장마당 질서는 사회주의 국가 초기에 존재했었던 시장의 복원을 의미한다. 여전히 국가의 통제가 강력하게 작동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