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방법을 통한 한국 신문기자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본 연구에서는 한국 언론 현실에서 국민들의 북한 관련 의식에 매우 커더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북한 뉴스 현장 취재기자들의 취재원(북한)에 대한 인식을 주관성연구방법인 Q방법(Q methodology)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적대적 대결형’, ‘우호적 공존형’, ‘민족중시적 협력형’, ‘합리적 경쟁형’등 모두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 중 유형1, ‘적대적 대결형’은 북한을 대화의상대가 아닌 적대적 관계로 파악하며, 북한의 태도에 강한 의구심이나 적대적 태도를 표출하였다. 동시에 북한문제를 남한의 입장에서만 판단하고 강경한 대응을주문하는 등 매우 강한 보수주의적 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유형2
[학술논문] 통일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 연구
통일에 대한 국가적⋅사회적 노력에 비해 우리 국민의 통일 열망은 크게 높아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의 통일의식은 저조하다. 이 연구는 향후 통일의 주력세대가 될 젊은 세대의 통일공감대를 고양하는 방안을모색하기 위해 통일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을 Q 방법론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젊은 세대의 통일에 대한 4개의 의미있는 인식 유형을 파악하였다. 유형1은 ‘합리적 준비론’으로 대변되며, 통일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통일공감대 형성과 같은 선행되어야 할 합리적 준비가 있다는 인식이다. 유형2는 ‘적극적 확장론’으로서, 대한민국의 선진국 도약을 위해 대한민국 주도의 통일을 지지하는 적극적이고 확장적인 인식을 의미한다. 유형3은 북한이 핵무기를...
[학술논문] 북한 핵위협 및 그 대응 방안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방안에 대한 우리 국민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 핵위협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북한 핵위협과 관련된 기사자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Q 진술문을 작성하였고, 톰슨의 스키마타에 따라 37명의 P 샘플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 핵위협에 대한 인식은 ①실용적 외교협력 중시형, ②적대적 군사안보 중시형, ③민족주의적 외교협력 중시형, ④냉전적 군사안보 중시형, ⑤낙관적 현상유지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북한 핵위협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 인식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며, 북한 핵문제에 대한 대응 역시 통일에 대한 인식이나 해결책에 대한 선호에 기반하여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 핵위협을 풀어나가는데 있어 다양한 인식유형을 고려하여 이를 만족시켜 나갈...
[학술논문] 이용자 활용 사진 촬영(VEP)을 활용한 북한산국립공원 자연경관 인식 분석
본 연구는 탐방객이 실제 체험하는 경관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 활용 사진 촬영(VEP)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를 바탕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ext network analysis)을 통해 인식의 유형을 공간 구성(spatial configuration) 범주와 내용 기반(content based) 범주로 분류하였다. 공간 구성 범주에는 시각적 측면에서 조화로운 경관을 가장 선호하고, 거대한 산봉우리나 세부적인 자연 요소와 무늬 등 독특한경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편 내용 기반 범주에는 시각을 비롯한 청각, 촉각에 의해 역동적으로변화하는 계곡, 연못 등의 수경관을 선호하고 가을을 느낄 수 있는 계절감, 날씨의 변화로 나타나는 안개의 신비감 등 한시적 또는 일시적인 현상에...
[학술논문] 북한출판물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수용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의 유형을 발견하다. 제1유형은 ‘정치와 교육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이 당의 강력한 통제와 감독을 받으며, 북한의 사상과 교육 실태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2유형은 ‘북한 이해의 도구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 출물은 북한 반을 이해하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3유형은 ‘교류 와 력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을 남북한 교류의 활성화에 필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4유 형은 ‘서지학 인식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을 서지학 으로 인식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출물에 한 인식을 유형화함으로 북한 출물과 련한 기자료를 제공할 것을 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