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북한 주민의 학교 생활: ‘인민’의 재생산과 학교 일상의 수행성
...기능을 여전히 수행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감소하고 있다. 둘째, 북한 당국이 우려하고 있는 바와 같이, 평양과 지방, 대도시와 촌락, 도시 중심부와 주변부 학교 간의 교육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농촌학교에서 보편적 교육의 질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관리하는 문제에서 북한 당국은 정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제1중학교와
일반중학교, 대도시 중심학교와 주변부 학교의 서열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사회적 선발 장치로서 중등교육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넷째, 시장화 이후 학교의 공간과 시설, 교육과정 운영, 교육행정, 학생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시장경제의 영향력이 공교육에 침투하고 있다. 김정은 집권 이후에도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