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
문래동은 과거 안양천과 도림천을 끼고 있어 모래가 많다는 의미에서 모랫말(사천리)이라고도 불렸다. 소설가 황석영이 자신의 유년시절을 회고한 작품 『모랫말 아이들』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방직 공장 근처 영단주택에 살고 있는 주인공 수남은 창문 밖으로 영등포 공작창의 용광로 불빛이 어른거리는 것을 바라보곤 한다.
이곳이 일제 시기에 이르러 실을 뽑는 마을이라는 의미의 사옥정(絲屋町)으로 불리게 된 것은 영등포의 대규모 방직 공장 밀집과 무관하지 않다. 대표적으로 문래동 자이아파트 단지는 종업원 2천 명 규모의 종연방적(해방 후 방림방적)이 위치했던 곳이다. 문래근린공원에는 경성방직에서 기증한 거대한 물레 모양의 조형물이 설치돼 있어 이 도시의 과거를 상징하고 있다.
...
[정치/군사]
...글에서는 국제정치 환경의 영향을 염두에 두면서 주로 남북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북핵문제에 대해 논의한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앙상블을 위하여」(양무진)는 특히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북핵문제 해결방식들을 비교해봄으로써 박근혜 정부의 북핵 및 대북정책 전략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북한 대기근의 역사적 기원-일제시기 함경도 지역을 중심으로」(정병욱)는 북한 기근의 기원을 1945년 해방/분단 이전부터 존재한 북한의 농업생산체제로 보고, 비교적 상세한 자료가 남아있는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함경도 지방의 식량사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기근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북한의 시장화」(양문수)는 현 시점에서 7·1조치를...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함경도의 행정구역 변화와 인구 변동
일제시기 함경도는 ‘군(郡)’의 숫자가 늘어난 유일한 지역이다. 증설된 네 개의 군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2개는 1914년 부제(府制)의 실시에 따라 부가 분리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군이 된 경우이고, 나머지 2개는 도의 군 면적이 넓고 인구도 많아 증설된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 도 내 군들 사이의 균형과 ‘부원(富源)’의 개발 가능성을 고려했던 것 같다. 또 함경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부와 지정면•읍의 증가가 활발히 이뤄졌다. 이는 도시화의 진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배경은 일본의 군사적 점령, 1930년대 이후 ‘북선(北鮮) 개발’이다. 이러한 행정구역의 변화와 서로 호응하면서 함경도의 인구 구성도 변화하였다. 함경도의 산업별...
[학술논문]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역사와 전망
...해외의 성과도 기본적으로 포함하지 않았으며, 비사전형 공구서도 제외하였다. 논자는 한국 철학사전 편찬의 역사를 전통시대와 1945년 이후의 현대로 크게 구분하였다. 이는 사용 언어와 서양철학의 수용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먼저 전통시대의 철학사전은 유서(類書)와 고전 텍스트 사전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그 특성 때문에 시대순이 아니라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일제시기에 간행된 것도 한문으로 쓰여진 경우는 전통시대에 포함시켰다. 해방이후 현재까지의 시기는 1980년대를 기준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구분하였다. 이는 1980년대에 한국사회가 크게 변화하고 철학사전의 편찬도 이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전반기와 후반기에 각기 세 단계를 설정하였다. 전반기의 첫 단계인 1940~50년대는 최초의 한국어 철학사전인 백효원 역의 『철학사전』과...
[학술논문] 재북한일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북한의 일본인기술자 정책(1945~1950)
...인민위원회로 이어지는 권력의 이양과정이 어떤 양상을 띠었는가를 선명히 드러낼 수 있다. 물론 그 과정이 상당히 단절적이었음은 분명하지만, 국가를 운영해본 경험이 없었던 북한지도부가 일제의 기관과 전문 인력을 그대로 물려받았다는 점은 어느 면에서 양자가 연속성을 띠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일본인들을 향해 분출된 조선인들의 반일감정을 분석하고 있는 이 연구는 일제시기에 형성된 민족주의가 해방을 계기로 표면화되는 과정이 현대 남북한 각각의 국민과 인민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엿볼 수 있는 효과적 통로를 제시한다. 학문적 차원을 넘어 재북일본인문제는 현실 외교정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사안이다. 북한과 일본의 수교문제가 거론될 때 일본이 협상의 범주에 포괄할 수 있는 의제가 과거 북한의 일본인 억류와...
[학술논문] 韓㳓劤의 韓國史學 方法論에 대한 고찰
...해방 후 1세대 韓國史學者로서 實學의 연구, 東學農民蜂起의 究明 및 조선유교정치의 추구 등에 큰 업적을 남긴 한우근이 한국사학 연구방법론과 관련해 발표한 많은 글들을 분석․고찰함으로써 그의 한국사학에 대한 기본적 입장과 史觀에 관련된 연구방법의 문제를 살핀 것이다. 크게 3부문으로 이루어진 이 논문에서 첫번째로 한우근의 학문적 배경을 추적하였다. 그는 일제시기 平南에서 유교적 전통을 지녔던 가문에서 태어났다. 평양과 서울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마친 그는 일본에 유학하여 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東京帝國大學 西洋史學科에 다니다가 해방을 맞아 서울대학교 文理科大學 史學科 제1회로 졸업함으로써 韓國史學者로 출발할 수 있었다. 특기할 사항은 그가 중학생 때 光州학생운동에 가담해 黜學당한 바가 있고, 대학생 때에는 일제의...
[학술논문] 일제시기 함경도 부농주거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실향민들의 증언과 도면자료를 기반으로 -
Plenty of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dwelling of korea since 1970’s. Various approaches on the traditional way of dwelling design produced deep and broad understanding such as regional, periodical, social class characteristics etc. However these understandings have covered only on south korea. As far as north korea, very few studies have been added after korean war. V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