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직업 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직업 적응은 어떤 의미인지를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정책적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업 적응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1:1 멘토링, 상담 서비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을 법적 의무교육의 하나로 제도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의
일·
가정
양립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노케어 제도와 같이 50, 60대 여성 북한이탈주민들과 30~40대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이 공존할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직업 생활 경험을 통해 직업진입 가능성과 직업 적응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고 직업진입과 직업 생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