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과 냉전의 한국문학과 이산 -재러 한인 문학을 중심으로-
...발간하였다. 하지만 1938년 중앙아시아로의 강제이주가 시행되면서 조명희는 체포되어 옥중에서 사망하였고;최호림은 중앙아시아로 이주하였다. 연해주 조선인 문단은 전멸하였다. 1945년 소련이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명분으로 삼팔선 이북에 진주하였을 때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을 동반하였다. 이 중에는 연해주 시절부터 문학을 하였던 이들이 동참하였는데 조기천과
전
동혁은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들은 소련군대의 기관지인 ‘조선신문’을근거로 창작활동을 하였는데 그 지향이 달랐다. 조기천은 고국과의 연계를 통한 고려인의정체성을 주장하였기에 열심히 조선어를 비롯하여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을 하였다. 소련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성을 강하게 의식한 것이다. 이에 반해전동혁은 고려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