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3차 북핵 실험 이후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과 군사적 측면에서의 한국의 대응
...체제의 결속력과 미국의 대한국 방위의지 약화 기미가 나타날 경우 시험적 측면에서라도 다양한 형태의 국지적ㆍ전면적 도발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안보위협 상황 속에서, 군사대비 측면에서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첫째, 한국적 핵전략 수립 및 시행이 국가생존 차원에서 강구되어져야 하며, 둘째, 북한의 선제 핵 기습타격을 포함한 다양한 현재적 무력도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장거리 정밀공격 및 수도권 방호를 위한 확고한 방공전력이 확보되어야 하고, 셋째, 사이버 안보태세를 갖추어야 하며, 넷째 전시 동원체제 및 향토방위태세를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섯째,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시기 재연장 및 한미연합사 존속 등 한미 동맹체제 공고화 방안 재검토 및 배비 등의 조치가 총체적으로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민중을 감각하게 만드는 문학: 影本剛, 『近代朝鮮文学と民衆―三·一運動, プロレタリア, 移民, 動員)』(春風社, 2024)
...그리고 전시동원체제 속에서 ‘프롤레타리아’가 ‘국민’으로 호명되며 유용성의 조건 변화에 따라 ‘쓰레기’가 재배치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추적한다. 본 서평이 이 책에서 심층적으로 논하고자 한 것은 민중 기술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저자가 의식하고 있는 ‘운동성’이라는 표현과, 전시동원체제 하에서 민중의 위치를 새롭게 포착하는 ‘재배치’의 과정이다. 비록 이 책이 운동성을 이론적인 개념으로 체계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민중을 고정된 범주로 환원하지 않고 관계와 긴장 속에서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그 원리와 맞닿아 설명된다. 한편 이기영의 소설을 통해 제시되는 ‘재배치’ 개념은 전시동원체제 하의...
[학술논문] 병영 사회주의와 억압 평형: 동독 사례와 함의
...‘억압 평형’(repressive equilibrium)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북한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고에서는 동독 정권이 비밀경찰과 군 등 강압적 억압 기제를 활용하여 외부세계와 주민 사회를 분리하여 고립시킨 ‘국경독재(Grenzregime)’를 구축하고, 체제결속을 위한 거대한 전시 동원체제 하에 주민의 체제이탈과 저항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억압 평형 상태를 달성할 수 있었음을 규명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동독 병영 사회주의의 ‘억압 평형’ 체제의 본질적 ‘불안정성’에 주목하면서, 동독 정권의 억압적 사회통제가 표면적으로는 ‘성공’한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대내외...
[학술논문] 1960년대 북한소설의 철도 모빌리티와 젠더 표상: 식민지 대중동원 텍스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편지」(1960)․「길동무들」(1960)․권정웅의 「백일홍」(1961) 등 천리마 시기 북한 대표소설에 나타난 철도 모빌리티의 성별 상징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제국의 전시 동원체제와 마찬가지로, 북한문학에 나타난 철도 모빌리티는 국가적 건설을 뒷받침하는 공공 운송 수단이자, 인민들을 “앞으로 떠밀어” 조국의 미래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한 독려의 표상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천리마 운동은 “남녀 차별이 있을 수 없는 새조선의 평등함”에 따라 철도 건설 및 노동 현장에 여성 인력을 배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전시 동원체제 이래 지속되어 왔던 젠더 위계 구도를 전적으로 탈피할 수는 없었다. 이 글에서는 선전영화 ․ 노래 등의 텍스트를 참조함으로써 식민지 시기/천리마 시기 대중동원...
[학술논문] 1961년 베를린위기와 북한체제의 공고화
...실패는 동유럽 국가사회주의 체제의 도덕적;정치적 환경에 변화를 가져오면서 결과적으로는 동유럽에서 정치적 정통성의 하락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탈스탈린화 이후 글로벌 경제와 문화교류에 참여하는 초국가적;초체계적 연계망 속에 들어갔던 동유럽과 소련과 다르게 북한은 1950년대부터 독자적 노선을 주장했다. 북한의 외교적·경제적 고립과 후계정치의 맥락에서 주민들은 물질적 성취와 정치적 정당성에 대한 고유한 개념을 형성해 왔다. 집권세력은 정책적 성과가 아닌 민족주의적 가치를 바탕으로 국가-사회관계를 설정했다. 한국전쟁;준전시동원체제;남북체제경쟁과 같은 조건 하에서 자주적 평화통일과 자립적 민족경제와 같은 주장은 대중적 호소력을 갖고 국가적 목표를 우선시하고 그에 복종하는 인민으로서의 집단 정체성을 형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