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전쟁 기 북한을 방문한 중국화가들
...마조인(馬兆仁), 손견광(孫見光) 등 지원군 정치부 문화부 (志願軍 政治部 文化部) 소속의 화가들은 중앙미술학원의 미술간부훈련반 출신의 젊은 화가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주된 임무는 중국인민지원군의 사기를 진작시킬 연환화를 제작하고 병사들의 초상화를 그리는 것이었다. 이들은 <황계광(黃繼光)>, <양국량(楊國良)> 등 ‘전쟁영웅’의 칭호를 부여받은 병사들의 전장에서의 활약상을주제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전투기간 중 진지를 방문하여 일반 병사들의 초상화를 그리거나, 미군포로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하였다. 특히 이들이 그린북한농민과 유격대원의 초상화, 북한 농촌을 그린 풍경화는 1950년대 북한의모습을 기록한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한편 중국문학예술가연합(中國文學藝術家聯合)이...
[학술논문] 한국적 전쟁영웅의 탄생과 시대적 변화
... 했다. ‘싸우면서 건설’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의 담지자로 전쟁영웅은 등장한다. 1990년대 이후 민주화와 탈냉전의 시대적 분위기는 한국전쟁과 분단에 대한 전통적 사유를 문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과 ‘전쟁’ 자체에 대해 근본적으로 ‘회의하는 전쟁영웅’이 등장하게 된다.
[학술논문] 불가리아 작가가 본 한국전쟁 당시의 북한 사회 - 게오르기 카라슬라보프의 회고록을 중심으로
...일간신문인 ‘Rabotnichesko delo(노동신문)’에 24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작가는 신의주에서부터 평양까지 가면서 본 북한 주민의 열악한 상황, 전쟁의 실상 그리고 노동자들의 삶을 묘사했다. 그는 고아원, 공장, 마을 등을방문하면서 북한 사람들이 불가리아 사람들과 비슷하여 고향에 있는 것처럼 느꼈다고 했다. 그는 많은 전쟁 영웅과 김일성을 만나고서 북한 사람들의 용감함, 사회주의 체계, 러시아와 중국을찬양했다. 카라슬라보프는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전쟁이 보통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북한 사람들의 승리를 향한 강한 의지를 서술했다. 이 회고록은 북한 방문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북한의 자연과 풍습에 대한 자세한 설명 그리고 전쟁 상황에 대한 촌평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이유로...
[학술논문] 주체사상 시기 북한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양상 - 1960~1990년대 북한 서정시를 중심으로 -
...통하여 한국전쟁에 대한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해석의 상관관계를 추적해보았다. 첫 번째 시기에, 북한은 ‘경제건설과 국방건설을 병진시켜야 한다.’는 당의 새로운 혁명노선을 채택하였고,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적극적인 창작을 통하여 인민에 대한 혁명교양사업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전쟁영웅’을 만들고 ‘전선미담’을 꾸미는 등의 방식으로 전쟁기억을 ‘각색’하였다. 두 번째 시기에, 북한은 새 세대의 청년들에 대한 혁명교양과 계급교양을 강화할 것을 당의 새로운 지침으로 채택하였고,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적극적인 창작을 통하여 이들을 당의 전투적 후비대로 튼튼히 준비시키고자...
[학술논문]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오체르크와 실화문학의 계보
...위해, 1990년 사회과학출판사의 학술연구 시리즈물문예론문집 5에 실린 김명희의 논문 「조국해방전쟁시기 실화문학연구」를 통해 이 계보를다시 명확히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종군기, 전투기, 영웅전투기를 실화문학의 중요한기원으로 상정한 것을 보면, 실화문학은 북한인민군 중 실제 있었던 전쟁영웅의 행적을 그린이야기가 건국 이후 출발점이다. 김일성의 식민지 행적, 즉 항일혁명투쟁의 내용은 북한 건국이전 전쟁기 영웅을 형상화하려는 실화문학의 대상이 된다. 이 부분은 1952년 리효운이 처음에 오체르크를 도입할 때, 그리고 1954년 한설야의 평론에서도 이미 명확히 규정된 바 있었다. 결국 북한의 실화문학은 북한 초기에 등장한 문학장르 오체르크의 일부 특성을 계승하면서 인물 오체르크라는 형태를 중심으로 변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