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북한미술과 소련미술의 영향 관계 연구: 1950년대 유화와 포스터를 중심으로
...교류뿐 아니라 미술 전문인 양성을 위한 소련유학생 파견 등의 인적 교류를하였다. 소련유학생들은 귀국 후에 미술대학 교수로 임용되거나 소련미술 서적 번역 등을 통해 북한미술계에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북한미술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선전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으며, 소련화가들의 독소
전쟁
포스터를 참고한 작품이 다수 제작되었다. 북한미술가들은 주제 의식 및 구도와 도상에서 소련
전쟁
포스터를상당 부분 차용했다. 그러나 세부 도상 표현에서는 변주를 주어서 민족적 특성을 반영하였다.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북한미술계는 전후 복구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무렵 소련에서 파견된 레핀미술대학 교수 변월룡(邊月龍, 1916-1990)은 북한미술가들에게 현실에서 소재를 얻음으로써 형식주의를청산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