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교육 학위과정에 참여하는 북한이탈(탈북)중년여성의 ‘전환학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알아내고,
전환
학습의 관점에서 학습 성과로 얻어진 삶의 변화, 그리고 그 의미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의 변화가 자녀교육 및 미래 통일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주제의 특성에 따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교육 학위과정을 공부하거나 학위과정을 마친 8명의 탈북중년여성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연구를 통하여 1,316개의 의미 단위를 발견하였고, 이를 통하여 22개의 하위구성요소, 여섯 가지의 의미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의미구성요소는 어렵고도 험난한 길-탈북, 안도와 불안의 교차점 뿌리내리기, 배워야 사는 세상, 배움의 성취와
전환학습,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