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중․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부지원 인식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본 연구는 탈북 중․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부지원 인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50세 이상 탈북자의 거주지역,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하여 층화표집한 215명의 전국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3.27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탈북 중․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삶의 만족도의 4.6%를, 정부지원 인식은 8.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영역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보여 주었다. 탈북 중․고령자가 정부정책이 지역사회정착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 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PTSD가 낮을수록, 북한에서의 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적 만족도가...
[학술논문] 역사 교과서 논쟁과 뉴라이트의 역사인식
... 국사편찬위원회가 1982년에 펴낸 『한국현대사』(탐구당)와 대한민국사편찬위원회가 1988년에 펴낸 『대한민국사』(탐구당)가 있다. 또한, 식민사학과 실증사학의 계보 아래 박정희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성장한 국가주의 역사학의 계보와의 연관성도 면밀히 살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국가주의 역사학이란 ‘일제하 민족 개량주의자들의 종족적, 문화적 민족주의를 계승하고 미국의 근대화론을 도입하여 극우반공정권의 역사적 정통성을 강화하고 국가 주도로 추진하는 종속적인 자본주의 산업화에 기여하는 역사인식체계를 수립하려는 역사학’을 일컫는다. 이윤갑, 「한국 역사학의 새로운 길 찾기: 민족주의 역사학의 전망」 『한국학논집』35, 2007, p.29. 그들이 지향하는 바는 명백하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학술논문] 다문화 소수자에 대한 국민인식의 지형과 변화
...비판하고 배격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이러한 국 내외 상황변화는 일반국민의 이주민, 다문화 소수자, 다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국민정체 성, 다문화 수용성, 외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을 포함한 다문화 소수자들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관계를 어떻게 맺고자 하는 지를 국내외에서 실행한 여러 사회조사 자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한국인은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해 더욱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 게 되었고, 한국사회가 외국인을 받아들이는데 한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증가했고, 북한이탈주민과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부 지원이 과도하 다고 생각하는 정도도 증가했다. 즉, 2000년대 초의 다문화 소수자에 대한 온정주의는 2010년대에 들어서 냉담주의로...
[학술논문] G2時代中國對北韓的政經戰略新趨勢
.... 과거의 혈맹, 이데올로기 및 전략적 완충지대라는 개념을 넘어 ‘정상적 국가관계’의 확립을 대북전략의 원칙으로 삼고 있는 것 같다. 중국의 대북전략의 변화에 따라 중국의 대북경제협력도 ‘정상적 경제교류’ 원칙을 강조하면서, 중앙정부의 지원이나 합작개발보다는 지방정부와 민간기업 중심의 경제협력이 추진되고 있다.
[학술논문] 한국 사회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과 관계별 거리감 인식 변화
...일반적 인식과 정책 지지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거리감을 단일 지표로 통합하여 분석해 왔으나, 본 연구는 ‘동네이웃’과 ‘배우자’와 같은 사회적 관계의 친밀도 차이에 따라 거리감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영향력 또한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동네이웃으로는 꺼려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표본 내에서 배우자로는 ‘꺼려진다’고 응답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탈북민 전반에 대한 태도, 탈북민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태도, 북한인권에 대한 인식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 관계에서의 거리감은 일반적인 인권 인식이나 원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