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고대국어 연구와 향가 연구의 연계성-류렬의 『조선말력사 1ㆍ2』와 『향가연구』를 중심으로-
...고려시대의 향가를 해독함에 있어 지금까지이루어진 북한의 조선어사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각 시기별로 차이가 나는 음운 체계에 철저히 맞추어 해독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해독은 향가에 쓰인 표기 그 자체만을 귀납하여 이루어졌다기보다는 기존에 이루어진 조선어사 연구 성과에 기대어연역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 과정에서 이용된 조선어사에 대한 지식은 삼국시대 고유명사 표기에 대한 박사학위논문인 류렬(1983)을 비롯하여 『
조선말력사 1ㆍ2』등 북한의 조선어학계에서 독자적으로 축적되어 온 일련의 학술적 연구 성과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류렬(2005)『향가연구』 에 대한 학술적 비판은 북한의 조선어학계에서 이루어진 중세 이전의 조선어 연구 성과에 대한 학술적 비판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