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의 변화 -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선족의
조선어문
교과서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을 비교함으로써, 시진핑 시기에 조선족의 민족어교육의 위축 양상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어문
교과서는 민족 정체성 담론과 소수민족
교과서 정책의 배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족 정체성 담론의 측면에서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은 한반도의 국민국가 단위에서 모색되는 민족 정체성과 변별되면서도 혼효된다는 점,
조선어문
교과서는 민족의 언어문화 교육 자료이면서도 국민 정체성 형성의 목적도 달성해야 하는 국정
교과서라는 점에서 국민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의 역학 관계가 나타난다는 점,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민족 정체성은 변화한다는 특성을 지닌다. 또한 시진핑 시기의 소수민족
교과서 정책 측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