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중 접경지역의 국경 형성과 ‘조선인’의 혼종성: 식민시기와 냉전시기를 중심으로
...주목해왔다. 그러나 북한과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인 집단은 초국적 이주의 결과라기보다 국경이 지역 거주민을 가로지른 양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식민시기 만주 조선인은 일본제국과 다수의 인구 집단인 중국인 세력 사이에서 위치한 종족 집단으로 자리를 잡았다. 해방 이후, 북한과 중국이 성립되고 냉전과 국경 형성이 맞물린 국면에서 조선인 집단은 각각 북한의
중국
연고자와 중국 조선족이라는 국가적 경계로 나뉘어졌지만, 사회주의 형제국이라는 묶임이 교차하는 특수한 범주로 존재하게 된다. 북·중의 국경이 강화되는 과정에서도 오랜 역사에 걸쳐 형성된 이동성과 양국 간 사회주의 혈맹 관계는 지역의 거주민들에게 국가 정체성과 종족 정체성이 경합하는 유동의 공간을 허락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조선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