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중국 토지개혁서사에 나타난 반봉건적 성격: 해방직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를 중심으로
...초반까지 북한‧
중국
토지
개혁
서사에 나타난 지주-농민 간의 계급갈등 양상을 비교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 토지개혁이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진 데 비해,
중국의 토지개혁이 유상매수에서 무상몰수로의 전환을 겪어 비교적 서서히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북한 토지개혁서사는 전부 토지개혁이 완수된 이후 창작된다는 점과 달리,
중국
토지
개혁
서사의 창작은 토지개혁의 전개와 거의 동시적으로 발전된다. 따라서 북한 토지개혁서사는 토지개혁으로 인한 농촌현실의 전변과 거기에 생활하는 농민의 의식과 삶의 변화를 형상화함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중국
토지
개혁
서사의 초점은 농민들의 계급의식을 각성시키고 그들을 토지개혁에 참여시키도록 동원하는 데 있다. 그 결과로 소작제도 소멸되고 건국의 사업을 앞둔 북한의
토지
개혁
서사에서 계급갈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