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초당적 통일정책-전문가 포럼> ③ 자유토론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제2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이 지난 2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진보 보수 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및 연구자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초당적 대응’이란 주제로 개최됐다.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전재성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과제’란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진보·보수·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22명이 참석해 지정 및 자유토론을 벌였다.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2024 통일과나눔 <공감한반도연구회 컨퍼런스> ④ 2세션: 발제
2024년 11월 19일, 재단법인 통일과나눔과 공감한반도연구회는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미 트럼프 정부 출범과 국제정세 및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2024 통일과나눔-공감한반도 연구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진보, 보수, 중도 등 다양한 통일·국제관계 전문가와 연구자 20여 명이 참석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이 한반도와 국제정세, 통일 환경에 미칠 영향과 한국의 초당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1세션에서는 미국 신정부의 국제안보와 통상외교 정책 변화에 대한 발제와 토론이, 2세션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 변화와 통일 전망, 그리고 우리의 전략적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으며 현장에는 동시통역과 유튜브 생중계가 제공되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초당적 통일정책-전문가 포럼 ‘지금 북한, 어떻게 볼 것인가’
...나가면서 우리 내부의 통일 담론을 이념과 정파 정당을 넘어 초당적으로 논의 수렴해 통일의 기반을 만들어 가기 위한 '초당적 통일 정책-전문가 포럼'이 출범했다.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이사장 이영선)은 26일 서울 중구 태평로 1가 코리아나 호텔에서 '초당적 통일 정책-전문가 포럼'을 열고 진보 보수 중도 성향 전문가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금의 북한, 어떻게 볼 것인가’란 주제로 첫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고유환 동국대 명예교수(전 통일연구원 원장)과 유호열 고려대 명예교수(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및 김병연 서울대 석좌교수(전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원장)가 주제발표를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초당적 통일정책-전문가 포럼> ② 지정토론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제2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이 지난 2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진보 보수 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및 연구자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초당적 대응’이란 주제로 개최됐다.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전재성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과제’란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진보·보수·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22명이 참석해 지정 및 자유토론을 벌였다.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초당적 통일정책-전문가 포럼> ① 개회사 및 발제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제2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이 지난 2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진보 보수 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및 연구자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초당적 대응’이란 주제로 개최됐다.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전재성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과제’란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진보·보수·중도 통일정책 전문가 22명이 참석해 지정 및 자유토론을 벌였다.
[뉴스] https://www.chosun.com/politics/north_korea/2024/09/30/4WK5F4RGQBFXXJPVAYLA7U7UM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이념과 정파를 넘어 새로운 통일담론을 만들기 위한 전문가 포럼이 출범했다.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이사장 이영선)은 지난 26일 서울 코리아나 호텔에서 진보·보수·중도 성향 전문가 22명이 참석한 가운데 ‘초당적 통일 정책-전문가 포럼’ 발족식을 갖고 첫 토론회를 개최했다.
[뉴스] 통일과나눔재단 "두 국가 선언한 北, 체제 권위 높이기 위해 공포정치중"
[앵커]
통일 대신 '두 국가 체제'를 선언한 북한과 한국의 대응을 논의하기 위해 국내 석학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심각한 경제난으로 정권 붕괴 위기를 겪는 북한이 공포 정치로 정권 유지를 이어가고 있다는데는 인식을 같이했지만, 러시아와의 군사협력과 미국과의 핵 협상 전망에는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정치/군사]
...원조로 일컫는 에드먼드 버크의 ‘프랑스혁명 성찰’을 중심으로한 우파적 근대화의 길과 레닌의 ‘국가와 혁명’을 중심으로 한 좌파적 근대화의 길을 원효· 탄허 스님의 중도회통사상과 화엄경, 천부경의 천지인 조화의 철학에 기초하여 비교, 분석하면서 새로운 통일철학을 모색하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은 남북한 체제경쟁의 최전선에서 치열하게 살아온 저자의 구체적 경험들과 결합해서 독자들에게 생생한 보수우파의 진실, 진보좌파의 진실, 중도회통사상에 기초한 통일철학 등의 비전을 보여주고 있다.
“김정은은 김정일과 달리 절대적 수령이 아니다. 김정일의 큰딸 김혜경, 조용원 조직비서 등이 김정은과 함께 서기실중심의 집단지도체제로...
[정치/군사]
...연결되어 있다. 국제적 협력과 통제가 핵무기를 사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전 세계에는 총 9개국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인정한 핵보유국인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과 NPT에 가입하지 않은 사실상의 핵보유국인 이스라엘, 인도, 파키스탄, 그리고 NPT에 가입했지만 중도에 탈퇴를 선언하고 불법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한 북한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미국은 새로운 전략 환경 변화에 직면해 있다.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의 양극체제, 소련의 붕괴 이후 미국의 단극체제를 넘어 이제는 ‘다자간 경쟁체제’라는 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학술논문] 한국 시사 잡지의 국제뉴스 다양성 연구: 심슨 다양성 지수를 활용한 커버스토리 분석
...기고자와취재원 다양성 모두 <주간조선>이 가장 높았다. 커버스토리에 나타난 국제뉴스 관련 “국익과보편적 세계평화와 관련한 이념 지수”를 산출해 분석 결과 <주간조선>은 보수성향이 강하게나타났고 <시사저널>은 중도보수, <시사인>은 중도진보 그리고 <한겨레21>은 진보성향으로 조사되었다. 정권별로 이념 지수 변동 추이를 분석해 본 결과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바뀌면서 중도성향이었던 <시사저널>의 보수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등 시간이 지날수록 각 잡지의 이념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가 갖는 시사점은미국과 동북아 지역에 머물렀던 정치·경제 중심의 ‘이데올로기형’국제...
[학술논문] 한반도 북부지방 토기문화를 통해 본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계통 - 소위 ‘중도유형문화’를 중심으로 -
...출토되는 양상이 확인되어 이 지역 토기문화가 단선적으로 변천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중부지방에서 화분형토기가 출토된 대성리 B지구 등의 유적군과 중도식무문토기와 낙랑(계)토기가 공반된 유적군을 비교검토하여 중도식무문토기의 서북한지역 기원설의 문제점을 재차 지적하였다. 최근 발굴보고된 함주 신하리유적에서 단결-끄로우노브까 토기와 서북한지역의 활석혼입계토기가 공반되는 양상을 통해 함흥 일대에서 양 지역의 토기문화가 혼합되어, 동해안 해안가와 추가령구조대를 따라 영동지역 및 영서지역으로 확산되어 소위 ‘중도유형문화’가 성립한 것으로 추론하였다. 또한 중도식주거지의 형태, 쪽구들의 계통, 분묘 부재문제 등을 통해서 중부지방 원삼국문화의 기층문화는 동북한지역의 문화와 좀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학술논문] Q방법을 통한 한국 신문기자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파악하며, 북한의 태도에 강한 의구심이나 적대적 태도를 표출하였다. 동시에 북한문제를 남한의 입장에서만 판단하고 강경한 대응을주문하는 등 매우 강한 보수주의적 태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유형2, ‘우호적 공존형’은 북한에 대한 경계심을 강조하고 북한의 태도에 의구심과 불신을 표출하면서,한편으로 남북 간에 상호존중과 공존공영을 강조하는 중도 진보주의적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민족중시적 협력형’에 비해 현재의 남북분단구조를 인정하고 현상유지의 틀 안에서 북한문제를 보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보수적 성향을 갖고 있었다. 유형3, ‘민족중시적 협력형’은 북한을 동반자 관계로 인식하면서 특히 같은 민족으로서 북한주민의 인권에 강한 관심을 보이는 등 동포애와...
[학술논문]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문헌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연구현황, 연구내용,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논문은 2002년 이후로 연구되었고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 교육, 사회, 사회복지, 심리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으나 72개의 학술지에 발표될 정도로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연구가 75.78%나 차지한다. 셋째, 연구주제는 사회, 문화, 학교, 심리적응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치료, 외상, 소비의식, 정체성, 다문화, 학습장애, 중도탈락 등 탈북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하는 주제가 많았다. 그러나 적응과 관련된 연구는 중복되는 연구가 많았고, 탈북청소년의 사회통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미흡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탈북청소년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불교 연기론의 관점에서 본 통일문제와 통일교육
...과보(果報)가 드러나게 되며, 모든 존재는 서로 의존하고 관련되어 원인에 의해 또 다른 결과들을 낳는다는 것이며, 무상(無常)의 원리들은 법칙이 없는 것 같지만 그 속에는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글은 연기설(緣起說)의 핵심 개념들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에 접근해 보았다. 상의성(相依性)에 의해서는 남한과 북한 관계의 인식에 대하여, 공성(空性)과 중도(中道)에 의해서는 통일문제들에 대한 인식 전환에 대하여, 업보(業報)와 동체대비(同體大悲)를 통해서는 실천적 노력을 논의하고 간략하게 통일교육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통일연구는 현재 통일학(統一學)이라는 학문영역이 성립될 수 있을 정도로 성숙해졌고, 이제 통일학의 이론적 근거로서 형이상학적·철학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의 목적은 불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