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원사시대의 물질문화변동 - 두 지역 토기제작의 기술혁신 -
...생산체계가 조직되는 과정이 상이했다. 진·변한지역 일부 취락에서 이주 도공이 물레질-타날법을 토착 도공에게 전수함으로써 기술혁신이 촉발되었다. 이 새로운 기술체계에의해 제작되는 기종이 늘어가면서 와질토기 생산체계로 발전하고 비교적 빠른 속도로 와질토기 생산체계로 토기생산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북한강유역은 신기술의 도입 이후 토착사회 내에서 신기술에 의한 생산체계와 무문토기 생산체계가 오랫동안 한 사회, 하나의 취락안에서 병행해간 특징을 보였다. 타날문토기와
중도식무문토기 두생산체계는 병존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도 하지만 기종과 기술이 섞이는 일은 극히 제한되었다. 일러도 5세기 후반이 되어야 물레질-타날법을 토대로 한 생산체계에 의해 사회 내 토기제작이 통합되고 토착 무문토기 전통이 소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