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연방 해체기 중앙아시아국가들의 탈소비에트화 및 중앙아시아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을 중심으로
...즉 체제전환기 이론 등을 적용한다는 것은 논문의 양적 기대는 되지만, 질적 기대는 어렵다. 중앙아시아의 문제는 중앙아시아의 관점에서 바라봐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련 해체기에 이들 세 개 국가들이 어떻게 체제변혁기를 맞이했으며, 탈소비에트화, 탈러시아화를 어떻게 이루었으며,
중앙아시아화 건설을 어떻게 만들어 나아갔는지를 다루게 된다. 제I장에서는 중앙아시아를 대표하는 3국가의 지정학적 개요, 탈소비에트화, 탈러시아화 및
중앙아시아화 움직임에 대한 과정들을 논하고 있고, 제II장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제점에서 내재적 접근법 활용, 제III장은 소련 해체기에서 3국가의 정치개요 과정, 제IV장은 소련 해체기에서 중앙아시아 지도자들의 역할을 알아본다. 제V장에서는 중앙아시아지역에서 정치적 변화와 술탄적 정서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