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동해 島嶼의 공간적 역할과 중층적 관계의 변화 -사할린, 울릉도ㆍ독도 그리고 쓰시마-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대립과 교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특히 환동해 도서를 변경 지역 중심으로 살펴본다면, 동북아 역사의 풍요와 다양성을 음미해 보는데 일조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근대국가에서현대 국가로 역사적 전환을 거치면서 환동해권 도서인 사할린, 울릉도․독도 및 쓰시마가 겪은 공간적 역할의 변화를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영역에서
중층적
관계성의 시각으로조명하고자 한다. 사할린은 원래 토착원주민의 터전이었으나 19세기 중엽에서 러일 전쟁 이전까지는 러시아죄수들이 유형을 오는 곳이었다. 다른 한편, 근세시기인 조선시대에 울릉도․독도에는 搜討정책으로 인해 왜인들이 머무르곤 했다. 쓰시마는 조선통신사의 방문이 빈번한 한일교류 거점이었던 동시에, 일제침략의 거점이기도 했다. 일제 식민화의 영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