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 - 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
본 연구는 현대 지리학의 여명기, 지정학 서사의 형성 과정을 ‘한국의 위치’를 설명하려는 초기 지리학자들의 텍스트를 통해 분석한다. ‘한국의 위치’에 대한 이해는 한국 사회에서 당연하게 여겨지는 지리적 지식에 속한다. 그러나 지리적 지식에 관한 기존 논의는 그것이 특정 장소에서 특정 엘리트에 의해 이동, 적용, 변형됨을 강조한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의 위치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형성 과정은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영향 속에서 이해될 수 있는 초기 현대 지리학의 한 장면이다.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은 근대 유럽에서 형성 및 발전되고 일제강점기 동안 식민지 조선에도입되어 식민 지정학에서 냉전 지정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독립한 한국의 지정학 서사를 재구성하는 데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