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행 탈북이주자의 노동이동과 탈북결정요인
이 연구는 북한주민의 ‘노동이동’이 탈북현상의 중요원인 중 하나라고 가정하고, 탈북이주현상을 국제이주이론에 비추어 검토한다. 특히 식량난민 이후 새로이 등장한 ‘
직행파
탈북이주자’에게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탈북과정을 노동이동의 맥락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북한사회경제를 구획하는 공식/비공식, 시장/국영부문의 네 가지 영역을 기본축으로 하여
직행파 탈북이주민 23사례를 성별/일자리유형별로 여성 11사례, 남성 12사례로 나누어 북한에서 노동이동의 흐름과 탈북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세 가지이다. 첫째, 북한 공식부문 국영경제(Ⅰ)에서 일하던 근로자들이 공적시장경제부문(Ⅱ), 비공식국영경제(Ⅲ), 비공식 시장경제(Ⅳ)부문으로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