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직후 북한 철도시설의 실태와 복구양상 (1945~1948)
... 협궤로 철로를 부설하는 경우가 많았다. 궤간에 통일성이 없었기 때문에 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없었고, 이동하는 화물들이 도중에 부패하거나 도난당하는 일이 잦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궤간을 통일하는 일은
철도
복구작업과 함께 시급한 문제로 다루어졌다. 북한의 철도가 해방 이후 빠르게 정상운행 될 수 있었던 이유에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부터 시작된 일원화된 업무지시체계가 근간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해방 직후 설치된 북조선 행정 10국 교통국이
철도의
복구에 매진하였고, 이후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교통국이 업무를 그대로 이어받아 철도운영에 대한 지침을 만들었다. 이와 동시에 기술인력 양성기관을 세워 일본인기술자들의 공백을 채웠다. 이렇게 양성된 철도기술자들과 철도노동자들은 기술 교육과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