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국어 문법사 연구에 대하여
...3세기~10세기), (3) 중세 중기 조선말(10세기~16세기), (4) 중세 후기 조선말(17세기~1865년), (5) 근대 조선말(1866년~1925년), (6) 현대 조선말(1926년~현재). 북한의 국어 문법사 서술의 성격은 ‘투쟁’과 ‘창조’이다. 문법 변화를 외래 침략자들에 대한 투쟁의 역사로 보며, 그 변화는 창조의 결과물로 해석한다. 연구 방법은 각 시대의 공시적 문법 기술을 바탕으로 앞 시대의 공시적 기술의 대조를 통해 문법 변화가 어떻게 일어났는가를 서술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품사 변화, 형태 변화, 문장 변화인데, 그 가운데 형태 변화가 주요 대상이다. 형태 변화 연구는 문법 형태인
체언토와 용언토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