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여성의 어머니되기와 소속의 정치학
...경우, 이들은
초국적 위치에서 북한, 중국, 남한의 세 지역의 자녀와
가족들의 관계를 동시적으로 조율해야 했다. 특히, 중국에 있는 자녀와의 관계는 난민이었던 때가 같이 여전히 모자 관계가 성립되어 있지 않아 법적 취약성이 지속되고 있고, 현지
가족에게 경제적 지원을 지속해야만 원거리 어머니로서 인정을 받을 수 있었다. 북한의 자녀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브로커를 통한 간헐적인 통화와 송금이 중요한 원거리 어머니 노릇이었고, 어머니 노릇을 수행하는 것 자체가 분단의 경계를 비공식적으로 넘나드는 법적 불안정성을 떠안는 상황에 놓이게 했다. 북한, 중국, 남한을 거치면서 탈북 여성들이 수행하는 어머니 노릇은 시민과 난민의 경계를 넘나든 그녀들이 법적, 제도적 지위를 상실하고 다시 획득하는 과정에서
가족 안팎의 젠더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