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생하는 수령과‘그리움의 정치’: 김일성에 대한 집단적 기억과 유훈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 이 논문에서는 김일성이 육체적 죽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사회전반에‘영생’으로 완성되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김일성의장례에서 나타난 슬픔과 상실감이 사회적 활력과 향수로 전환되는 사회적 현상들을살펴보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정치적 동원의 장치로 활용되었음을 논하였다. 김정일은 유훈통치 기간 수령영생주의 명분하에‘충효’라는 북한정권의 도덕적기반을 아주 적절하게 이용하여 김일성 이미지와 중첩된 새로운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갖출 수 있었다. ‘그리움의 정치’를 통해 김일성 사후 그의 역사성이 끊길 수 있는 위험을 극복하였다. 이는 김일성의 카리스마와 업적, 김일성에 대한 주민의 숭배와 절대적 지지, 향수 등 정서적 측면을 최대한 동원하여 체제위기의...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무망감에 의한 우울증 완충효과에 관한연구
.
[학위논문] 北韓體制의 儒敎的 特性에 관한 硏究
...초월적인 忠孝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논리를 후계논리에 그대로 접목하고 있으며, 인덕정치와 음악정치라는 구체적인 통치행태를 통해 구현하고 있는 실상을 논하였다. 또한 이러한 북한체제의 특성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仁義의 왜곡된 형태인 ‘동지애’의 억압적 구조 등 德 윤리의 부작용도 함께 드러내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먼저 Ⅰ장 머리말에 이어, Ⅱ장에서는 ‘북한의 유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북한의 유교사상 수용배경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유교의 聖人觀과 성인이 지향하는 이상사회론, 그리고 북한의 首領制와 강성국가론백두산대국론에 대한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유교의 宗法制와 忠孝사상이 북한의...
[학술논문] 북한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 번역에 나타난 역사인물의 특징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이 북한에서 출판된 현황과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확인되는 바에 따르면 북한에서 두 차례에 걸쳐 출판이 되었는데, 1956년 본이 전쟁 직후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역사관이라면 2010년 본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 체제를 확고하게 마련하고 김일성의 주체사상이 강화된 역사관으로 재정비되는 과정에서 충효사상에 바탕을 둔 사회주의 애국심으로 형성되었다. 그 결과, 2010년 본은 1956년 본과 비교하여 삭제된 부분도 많고 왜곡된 해석도 많아졌다. 김정은 정권에 들어오면, 강성한 국가의 믿음직한 후비대가 되기 위해서 역사를 배우고 창조적인 능력을 키우고 조국 통일 위업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 강화된다. 홍양호가 저술한 『해동명장전』은 북한에서 출판되는 과정...
[학술논문] 박정희 정권기 전통 사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국민윤리 교육
...따른 1971년의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전통 사상이 갖는 한계를 지적한 반면 3차 교육과정의 국민윤리 교과서는 유교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 사상을 오늘날 되살려야 할 유산으로 평가하였다. 1975년에 출간된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성실과 경애를 한국 전통 사상의 핵심으로 제시하였다. 이것은 박정희 정권의 이데올로그였던 박종홍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었다. 1979년에 출간된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성실과 경애 이외에 충효를 한국 전통 사상의 핵심으로 규정하였다. 3차 교육과정 국민윤리 교과서에 규정된 한국 전통 사상은 실제 한국 유교의 전통과는 거리가 있었다. 오히려 식민지 교육을 통해 주입된 일본 유교의 전통과 국체사상의 개념을 한국의 전통으로 소개하였다. 이것이 박정희 정권기 강조되던 민족주체성의 한 단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