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츠빙글리의 국가론에 근거한 통일을 향한 기독교의 책임
한국 교회의 다수가 개혁신앙을 고백하는 장로교회에 속해 있기도 하지만 개신교 전체의 맥락에서도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에 개혁교회의 아버지와 같은
츠빙글리의 국가론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교회가 추구해야 하는 통일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유익이 있다. 본 연구는
츠빙글리의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전체 작품들 속에 나타난 그의 국가론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통일을 향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츠빙글리는 말년으로 갈수록 신성로마 제국의 칼 5세나 프랑스의 프란시스 1세에게 자신의 저작들을 헌정하는 등 국가론에 있어서 스위스를 둘러싼 주변국과의 국제 정치적인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국가는 교회와 더불어 하나님이 세우신 신적 기관이며, 국가는 국민의 평화로운 삶을 위한다. 하나님에 의해 임명된 국가의 지도자는 탐욕을 버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