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북한 학계의 고인돌 형식 연구 경향
...유적처럼 하나의 돌무지 묘역 안에 여러 종류의 무덤방이 축조되었고 묻기가 서로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돌무지 시설은 무덤방의 축조에 이용된 얇은 판자돌이 덮개돌의 하중을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보조시설이 필요하였을 것이다. 고인돌의 형식은 무덤방의 축조 방식, 벽의 구조와 벽체의 재질을 1차 분류 기준으로 설정하여
침촌형, 오덕형, 묵방형, 석천산형, 제주형 등으로 나누었다.
침촌형은 판자돌을 가지고 무덤방을 축조하였으며 가장자리에 돌무지의 보강 시설이 있다. 이 형식은 판자돌의 재질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오덕형은 판자돌을 지상에 세워 만든 탁자식으로 문 시설을 기준으로 3가지로 나누었다. 묵방형은 막돌을 가지고 지하에 무덤방을 축조한 개석식이다. 문 시설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였는데 기존 연구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