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공간 변화를 통해 본 시인 김우철의 정체성
...“과도기에 태어난 보잘 것 없는 인텔리-문인”으로서 ‘카프 지방 시인’‧‘국경 시인’‧‘식민지 시인’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또 해방 및 분단 이후에는 “평양 시내에 있는 중견 년배 시인”으로서 ‘중앙 시인’‧‘당의 시인’‧‘혁명적 랑만주의(카프) 시인’의 정체성을 나타냈다. 특히 카프 전통을 이은 ‘혁명적 랑만주의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은 해방 전과 해방 및 분단 이후를 잇는 김우철의 중심축이었다. 따라서 김우철은 북한 문학 전통이 카프 문학 전통으로부터 항일혁명 문학 전통으로 새롭게 변모하는 ‘전면적 개화기에 들어선 천리마...
[학술논문] 김우철 시 평가 양상을 통해 본 북한 문학사 서술 변화 -‘평화적 민주건설 시기’~‘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를 중심으로-
...1959년판 문학사는 조소 및 국제주의 친선 주제를 중시하였고, 도식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비판 ‧ 풍자 작품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평가가 가능했다. 둘째, 1978년판 문학사부터는 주체문예이론이 공식화됨으로써 수령 칭송 주제와 항일혁명 주제가 강조되었다. 이는 1967년 유일사상 확립 이후 김일성 권력의 절대화 과정과 관련된다. 셋째, 모든 북한 문학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민족 해방 및 건설의 감격으로써 토지개혁의 의의와 수령 형상 주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로써 1959년판 문학사 서술이 마르크스 레닌주의 방법에 기초하여 카프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면, 1978년판 이후 문학사 서술은 주체 방법에 기초하여 항일혁명 문학을 북한 문학 전통으로 세우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학술논문] 송순일의 생애와 소설 연구
‘Song sun-il’, left many works of poetry and fiction, includ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s a writer in the 1920s and 1930s. Our history of novels, but he mentioned at all is not. By contrast, he is North Korea’s history of novels to describe the important writers. Important writer describes the history of novels centered while missing him. Without a full-time writer in the literary
[학술논문]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과 그 원인, 1945~1953
.... 결론적으로,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은 해방 이후의 정세, 인민전선의 성격, 카프의 공식주의 비판, 당 문학 원리에 대한 상이한 이해와 그 실천이 원인이었다. 이 둘의 대립은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학자들이 조선로동당 내부의 권력투쟁에서 패배하면서 종결되었다.
[학술논문] 주의자소설의 멜로드라마적 특성과 실명(失明) 모티프 - 현경준의 신문연재장편소설『마음의 太陽』론 -
이 논문은 지금까지 한국 현대소설연구사에서 개별작품론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는 현경준의 데뷔작『마음의 太陽』에 대한 본격적인 작품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월북작가이자 재만조선인작가인 현경준은 카프에 대한 제2차 검거가 진행되고 있던 시기에 신문연재소설로『마음의 太陽』을 발표했는데, 이는 일제의 감시와 검열을 피하면서 사회주의적 이념에 토대한 소설 창작을 수행하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은 표면적으로 멜로드라마적 애정소설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이념지향적 주의자소설의 특징을 함축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당시 유행하던 신문연재소설의 멜로드라마적 특성이 확연히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선명한 이분법적 대립구도, 주인공을 둘러싼 남녀 간의 삼각관계, 주인공이 역경을 극복하고 끝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