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와 민족문화축제
이 연구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코리아타운인 중국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과정을 지역 민족언론(예,『요녕조선문보』 등)과 선행연구, 서탑지역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의 인터뷰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심양 서탑의 한인사회는 1910년경에 확립되었는데, 약 50여 한인가정이 살았다. 1922년에는 봉천(심양)의 서탑지역에는 401가정 1,902명의 한인들이 살면서 점차 정미소를 비롯한 다양한 상점들로 조선거리를 형성했다. 그러나 1945년 8월15일 해방 이후 많은 조선인들이 한국으로 돌아갔으며, 1948년 11월 심양이 공산당 정부에 의해 해방될 때 서탑의 조선인상점은 규모가 작은 31개 상점만이 남았다. 1980년대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이후, 서탑의 조선족거리는 새로운...
[학술논문] 영국 뉴몰든 코리아 타운 내 남한이주민과 북한난민 간의 관계와 상호인식
이 연구는 영국 뉴몰든 코리아타운을 남북한 출신 주민들이 상호작용하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초국적 접촉지대’중 하나로 정의하고, 이 지역의 남한이주민과 북한난민 간 사회관계와 상호인식을살펴본다. 뉴몰든의 유럽 유일 코리아 타운은 남한이주민, 조선족이주민, 그리고북한난민 등 세 그룹 코리안들의 초국적이주에 의해 형성된 사회적 공간이다. 서로 다른 이주 시기 및 배경을 가진 이 세그룹의 코리안들은 영국 사회에서 서로 다른 사회적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동시에‘종족경제’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활발히상호작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민족지적 현장연구에 기반한 이 연구는 이들 중 특히남한이주민과 북한난민 간의 사회관계와상호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서로 다른 배경과 자원을 가진 이 두 그룹...
[학술논문] 환동해지역의 민족(Ethnic) 경제 - 관계망과 제도화 중심으로 -
...현지제도와 문화에 영향을 받아왔다. 조선인들은 모국 고향과의 관계망도 유지되어 왔다. 최근 한류 등으로 한국문화나 음식이 인기를 끌면서 한식, 음반, 드라마 등 문화 산업화와 확산에 성공을 거두었다. 중국인들도 이 시장에 진출해 민족경제의 경계가 약해져 가고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 조선족 집거지였던 선양의 시타는 한중 수교 후에 한국투자가 증가하면서 코리아타운으로 변모했다. 게다가 북한 식당이 생겨나고 북한사업가들도 왕래하면서 한민족 복합서비스타운으로 성장했다. 우수리스크 중국 시장은 황화론의 위협으로 인해 정치적·제도적 영향이 가장 큰 다민족경제로 인식된다. 산업부문이 취약해서 사업기회가 큰 반면, 거주 및 현지인 고용 등 제도적 제약이 상존한다. 중국 상인이 보따리 상인을 거쳐 러시아인을 중간인(mid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