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리아 문학의 시각과 문학교육
...결론 냈다. 그리고 북한 자료는 이념성이 강해 북한
문학
교육에 적합하지 않다는 입장이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논의에서 벗어나 남북의 동질성은 물론 차이까지도
문학
교육에 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 방법으로 첫째;문학사를 통해 남북;연변문학과 총련문학의 교집합인 작가들의작품을 기준으로 삼아 선정하는 방법;둘째;북한 『국어』 교과서 분석을 통한 방식;셋째;남북 교과서 비교를 통해 도출 안을 내는 방법;넷째;북한의 서정시나 리얼리즘 소설을단절이 아닌 연속성의 관점에서 살피는 방법;다섯째;북한 문학을 외국문학의 관점에서의접근;여섯째;북한문학 가운데 남과 북의 공동의 기억과 남한소재 작품으로 접근하는방법;일곱째;동화를 통한
문학
교육의 접근 방식 등
문학
교육의 기준을 세우는 방법으로일곱 가지의
문학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