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시대를 대비한 북한형 콤팩트시티 연구: 개성시 적용 사례 검토
본 연구는 통일 시기 한반도 개발을 고려한 북한형
콤팩트
시티를 개성시를 대상으로 검토했다. 개성시는 통일 시기 남북경협과 물류 유통, 인적 교류의 중심지로서 발전 가능성, 개성시 주민들도 개성시 발전에 대한 기대와 고층 고밀 도시건설에 대한 선호도를 고려할 때
콤팩트
시티 적용 도시로 적합하게 나타났다. 인공위성자료 추출을 통한 개성시 현황 분석에서는 개성시 인구분포는 도심을 중심으로 도넛 형태로 분산되어있고 개성공단 운영 이후 건설 활동은 도심지역과 개성공단 주변을 중심으로 진행된 것을 확인했다.
콤팩트
시티 인구수 검토는 개성시 인구의 20%, 개성공단 노동자의 80%가 외부에서 유입시 약 32만명으로 검토되었다. 이 인구수에 대한
콤팩트
시티 건설 면적은 한국 1인 주거면적 34.1㎡, 용적율 600%, 건폐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