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디아스포라 고려인 소설 연구
...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불행한 삶을 그리고 있다. 셋째, 중앙아시아에서의삶의 어두운 면을 포착한다. 다른
고려인 작가들의 작품이
고려인들이 이룬 성취에 주로 집중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강제이주를 형상화하는 것에서도 차이를보인다. 부당한 정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고려인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고향에 묻힐 수 없는 존재로서
고려인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다.
탈북
고려인 작가들은 자신들이 거부했던 북한과 비슷한 상황의 소련에서, 쉽게 동화될 수 없었을 것이고, 그로 인해 다른
고려인들과도 거리감을 느꼈을 것이다. 그들은 다른 한민족 디아스포라 작가들과 달리 모국과도 의식적으로 괴리된 상태에 놓여 있음으로 인해 이중의 경계인이 된다. 그런 특성 때문에 북한과소련의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의식을 드러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