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의 사유와 냉전의 이면 - 장세진, 『숨겨진 미래』(푸른역사, 2018)
...시장 자체가 일종의 냉전의 이데올로기적 대결장이기도 했다. 시장경제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특화된 형태로 재현되었고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대립항처럼 여겨졌다. 시장경제에 기반한 자유주의적 기획이 냉전의 기본 문법이 되었고 한국의 경우 정치적 부자유와 시장의 자유가 결합된 냉전 자유주의가 나타났다. 탈냉전의 유력한 시도 중의 하나는 통일이었다. 북한을 적으로 상정한 냉전 구도였기에 남북의 통일은 탈냉전의 가장 강력한 상징이었다. 많은 지식인들이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자극받아 통일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러나 탈냉전이 곧 통일이라는 단순 도식이 민족주의와 결합하게 된다면 국가와 민족 중심의 회로를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이는
탈
식민
화가 곧 민족국가 수립이라는 민족주의 도식을 반복하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