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족의 해체 시대에 남북 분단의 고착화의 극복과 통일을 이루는 한국 신학으로서 통일신학의 길 모색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는 종족 민족주의 한계를 머무르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1919년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3 ․ 1 운동과 그 후의 민족주의나 혹은 민족 개념의 역사는 서구 제국주의가 지향해 온 민족 개념이 아니라, 식민지 역사 속에서 민족 해방의 과제를 이루어 가는 데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포기할 수 있는 역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 본 글은
토착화
신학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3 ․ 1운동 이후 민족문제에 대한 인식과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에 있는 종교들과의조화로운 관계를 통해서 서구 기독교에서 해방과 한국적 문화적 정체성의 형성했던 역사적 과정을 살핀다. 다른 한편, 본 논문은 한반도의 정치적 양극화 사이―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서 변선환의 민중 해방신학과박순경의 통일신학의 역사적 의의와 미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