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로 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 구조 변화 연구
...건축물은 김일성광장을 중심으로 본평양과 동평양을 연결하는 동~서 방향으로 조성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지하철 건설과 함께 대성산 남서쪽 산록에 혁명열사릉, 금수산의사당과 만경대혁명사적관이 세워지고, 1980년대 개선문, 주체사상탑이 세워지면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도시의 중심 축은 일제 강점기에 형성되었던 동~서축에서 벗어나 조선시대 평양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북 방향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대성산혁명열사릉과 금수산의사당이 도시 공간의 중심을 이루고, 이곳으로부터 남서쪽으로 만경대구역의 김일성 생가로 이어지게 한 것이다. 혁명열사릉과 금수산태양궁전의 입지 설명에서 풍수지리가 언급되는 것은 백두 혈통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평양시를 사회주의 모범도시로...
[학술논문] 북한에서의 남한, 남한에서의 북한 문학연구 -타자화된 시선들-
...이중 임진왜란에 관련된 역사소설은 남북한에서 대중적 호응을 많이 받고 있다. 최근 역사학에서는 임진왜란을 동아시아 세계의 국제적 관점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임진왜란 관련 북한 역사소설이 이념적 역사소설의 성격으로 반제반봉건의 서사로 일관할 때 남한 역사소설은 이보다는 다양한 형태와 관점의 역사소설을 선보인다.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하는 북한 역사소설에는 평양성 수호를 중심으로 한 조선 민족에 대한 사랑과 민중의 애국주의가 구현되어 있다. 여기에서 애국주의는 민족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사랑으로 민족의 운명을 지키기 위해 목숨 걸고 싸우는 희생적인 투쟁 정신이며 반침략 애국정신이다. 이러한 역사소설에서는 민족의 운명이 위기에 처했을 때 애국정신과 민족애의 정신이 더욱 부각된다. 임진왜란 관련 역사소설에서 무엇보다...
[학술논문] 북한의 ‘大同江文化論’과 고조선인식 검토
...후반기에 문명사회로 변화,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대동강문화의 내용은 대동강유역의 신석기문화와 단군릉, 비파형동검문화로 대표되는 청동기시기의 부락, 성곽, 고인돌문화 등으로 집약된다. 이 내용은 북한학계의 고조선연구사에서 기존 고조선 요동중심설에서 평양중심설로 전환된 획기적 사건이며 단군을 역사화한 이래 평양을 중심으로 구석기이래 우리 민족의 중심거점이 대동강변 평양일대였음을 강조하는 논리였다. 이 논의는 북한 고고학계가 중심이 되어 추진하였는데 평양성지화를 통해 민족시조 단군-동명왕-왕건-김일성으로 연결되는 북한의 역사적 정통성과 공간적 성역화를 추진하는 목적의 결과물이었다. 한편 이는 북한 고대사의 민족주의 색채를 완성시켜가는 일련의 과정으로 중국이 추진한 요하문명론과 정치적 목적성에서 유사성을 띠고 있다.
[학술논문]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효율적인 검토, 평양 성곽의 변화 및 각종 시설물의 비정과 복원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사서인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을 비롯한 각종 문집, 후대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평양의 성곽과 변화에 대한 종합적인 규명이 중요할 것이다. 이 연구는 평양성에 대한 소략한 기록과 고고학 자료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상황에서 조선 후기 평양성부터 검증하여 되짚어 나가는 방법으로 평양성의 현황과 구조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조선시대에 작성된 고지도와 더불어 조선 후기 평양의 모습을 상세히 그린 ‘平壤箕城圖’를 통해 살펴보았다. ‘平壤箕城圖’는 조선 제22대 정조(재위 1776~1800)가 수원 화성을 축조하기 위한 모색으로 지도를...
[학술논문] 최근 북한학계에서 이룩한 고구려 고고학 성과
21세기에 이르러 북학학계에서는 고구려 유적을 계획적으로 조사발굴하였다. 그중에 고구려 성곽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고구려 벽화무덤 10여 기를 새롭게 발굴하였다. 본고는 새 세기에 들어서서 북한학계에서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고구려 성곽과 벽화무덤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요약 소개하였다. 북한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에서는 2010년부터 5년간 선후하여 평양성․적두산성․안학궁․청암동토성․청호동토성 등 평양일대의 고구려 도성유적 및 주변 산성, 황룡산성 등 남포시 지역의 고구려 산성, 수양산성 등 황해도 지역의 고구려 산성, 운두산성 등 동해안일대의 고구려 산성, 통주성․백마산성․릉한산성 등 평안도일대의 고구려 성곽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부분구간을 발굴하였다. 또한 북한 고고학계에서는 잇달아 고구려시기의 벽화무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