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핵담론의 당론화 과정과 당론강화 동학
... ② 핵에너지를 부정하는 탈핵
담론, ③ 핵무기를 일방적으로 긍정하는 핵증강
담론, ④ 핵무기를 제한적으로 긍정하는 핵억제
담론, ⑤ 핵무기를 일방적으로 부정하는 핵무기금지
담론, ⑥ 핵무기를 제한적으로 부정하는 핵전쟁방지
담론의 여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북한의 핵
담론은 이 중
평화적
핵활동
담론, 핵증강
담론, 핵억제
담론, 핵무기금지
담론과 핵전쟁방지
담론 다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4장에서는 북한의 핵보유성명 발표 이전의 당론화 사례들을 다루었다. 우선, 북한은 1980년대 중후반 북소관계 개선과 비동맹외교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핵무기를 부정하는 방향에 속하는
담론들인 핵무기금지
담론과 핵전쟁방지
담론의 당론화를 연속적으로 진행했다. 1990년대 초 미․일과의 교차승인을 추구하던 상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