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냉전(사)의 세계 시간과 지금·여기의 문화연구 -2010년대 이후 한국문학 발(發) ‘냉전문화’ 연구 경향을 중심으로
...Turn) 역시 함께 진행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경우 제3세계 분단국가로서 세계적 냉전사 연구의 흐름을 일정 부분 선취한 측면이 있지만, 문화연구와 냉전 아젠다와의 결합만큼은 세계 냉전사의 흐름과 10년 가량의 기묘한 시차가 있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시차는 1990년대 후반 이래 한국문학계의 주된 동력이었던
포스트
콜로니얼
리즘의 성격에 기인한 바가 컸는데, 한국에 도입된
포스트
콜로니얼
리즘의 특징은 해방 이후보다는 주로 식민지 시기의 상징적 유산의 연속성에 대해 보다 집중했으며, 이데올로기적으로는 국민국가 비판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었다. 2000년대 후반 뒤늦게 시동이 걸린 한국문학 발 냉전문화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경향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째, 일본 제국의 붕괴와 냉전/열전으로 인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