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의 재정립 :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 또
교육현장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다양한 이슈들을 논의하는 ‘공론장’이 될 수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을 실현하기 위해 평화통일
교육은 크게 세 가지 변화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포용적
교육이 되어야한다. 평화통일
교육은 한반도의 평화와통일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 다양한 생각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평화통일
교육은 한반도의 분단이라는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평화와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향하는 평화교육과 인권
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평화통일
교육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이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사회와 세계시민들과 함께 연대하고 협력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점을 인식하는세계시민
교육이 되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