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실현으로서 ‘적극적 평화’
... 있는 한반도 분단체제와 관련지을 때 잘 드러난다.(3장) 갈퉁의 적극적 평화 개념은 우선, 한반도 통일이 구체적으로 무엇을지향하는가에 대한 인식을 심화한다. 둘째, 평화의 인간학적 차원을 제시함으로써 분단고통의 문제를 상기시키는 데 기여한다. 셋째, 한반도의 분단 폭력을 해체하기 위해 남북한 내부의 문화적 폭력의 제거가 핵심적으로중요하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4장)
#적극적 평화 #한반도 평화체제론 #분단폭력론 #분단체제 #폭력의 삼각형과 지층 #이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