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사람들이 보통 알고 있거나 알아야 하는 지식. 이해력, 판단력, 사리 분별 따위를 포함한다.” 한국어 사전이 풀이하는 ‘상식’의 의미다. 그리고 여기, 한국인 대다수가 반세기 넘게 공유해온 한 움큼의 상식이 있다. 가난해서 불행한 나라, 일상화된 감시와 처벌, 강제노동, 박멸된 개인과 폭압적 권력, 초읽기에 들어간 국가 붕괴…. 이른바 ‘교양 있는 현대 한국인들의 표준적 북한 상식’은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공해온 미디어와 국제기구의 이름값을 빌려 종종 ‘사실’의 너울을 두른다. 그렇다면 다시 사전의 풀이를 좇아 반문해보자. 우리가 의심치 않는 북한 상식에 담긴 지식, 이해력, 판단력 그리고 분별력은 얼마나...
[사회/문화]
...통일안을 제안한다.
남북 분단이 고착화된 상황에서 통일로 가는 길은 멀게만 보인다. 그럼에도 우리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통일은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다. 통일이 당장 이룰 수 없는 목표라 하더라도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준비는 필요하다. 남한과 북한은 여러 차이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언어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각자 자신이 사용하는 말을 한국어 혹은 조선어라 부르지만, 사실 두 언어는 같은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형제이다. 이 책은 통일을 위한 여러 준비 중 하나로 남북 어문 규범 통일안을 제시한다.
남북한의 어문 규범은 일제 강점기 조선어학회에서 만든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45년 광복의 기쁨을 누리기도 전에 우리나라는 남북한 분단의 시기로 접어들었다...
[법/인권]
"한국어를 구사할 순 없어도 인권을 구사할 수 있는" 인물로 자신을 소개하는 로버트 R 킹 북한인권특사는 실무자의 입장에서 마주한 “충격적(appalling)”인 북한인권의 실태를 드러내며 국제사회의 북한인권에 대한 의식 고양을 촉구한다.
북한인권 문제는 북측 입장에서는 식량, 안보 및 기타 정치적 사안들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북한인권특사로서 북한 고위 관료들과 인권에 대해 논의하며 마주하는 도전 과제는 만만치 않다.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데 결정적인 외교적 역할을 한 주체인 미국을 대표하는 킹 특사는 이와 더불어 북한인권 개선과 정치적 자유 증진을 위한 국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 유엔, 유럽연합, 기타...
[학술논문] 한국판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민간인용(PTSD Checklist Civilian Version)의 신뢰도 및타당도 연구 :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함의를 갖는다. 즉, PTSD 선별에서 PDS 또는 DTS에 비해 장점을 지닌 PCL-C를 북한이탈주민에게 사용할 목적으로 표준화하고 절단점을 제시한 본 연구가 PTSD를 지녔을 가능성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효율적 선별에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한국어판 PCL-C가 PTSD를지닌 북한이탈주민의 증상 및 치료 반응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증상의 추이에 따라 적절하게 개입할 가능성을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학술논문] 국어학의 남북 공동 연구를 위한 전제와 실제
This paper is written out with the object of finding the common project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to parpare the unification of two stat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scolars should recognize the following ones. 1. The true nature of the people is common. 2, The rational nationalism should be obeyed 3. Everyone should accept the varieties of the existence and respect each other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것을 전제로 삼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의 특징을 상술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이 우리 사회에서 살고 있는 시대적 요구로 발음, 어휘, 억양, 화법 분야에 걸쳐 교재가 만들어졌다. 이 교재는 북한이탈주민의 표준어 습득 및 표준어로의 교정에 초점을 둔 언어 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런데 표준 한국어에 대한 교육은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의 문제로만 보고 협소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표준어 습득 및 표준어로의 교정으로 갈 것인가, 남한 사람들의 듣는 귀를 열어 주어 북한이탈주민의 북한어 사용을 방언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할 것인가의 문제는 선택의 문제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는 문제이다. 통일 이전에 개발되고 있는...
[학술논문]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 표준 한국어에 대한 연구와 다양화된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병행 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역이민의 수요자 증가 등 성인의 유입으로 보건대 평생교육 차원의 한국어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생활 한국어뿐만 아니라 직업 한국어, 문화 한국어 등의 평생교육적 지원을 위한 교육 기관의 확보와 교사 양성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다중언어 사회의 변화와 그 역사가 축적되어 감에 따라 한국어의 다양화와 한국어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대비하는 한국어 교육의 연구와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개인의 책임 또는 언어학적 능력의 관점에서 주로 보는 인지적 접근 방식으로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성과가 축적되었다면...
[학술논문] 國語學 硏究의 변화에 따라서 國語學의 下位 領域도 점차 細分化되었고 硏究 主題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國語學의 體系도 傳統的인 分類에서 벗어나 새로운 領域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國語學을 포함하는 硏究分野를 體系的으로 나눈 것은 韓國硏究財團(舊 學術振興財團)의 硏究分野 分類體系가 유일하였지만 지난 2008년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全面 修正으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全面 修正으로 人文社會科學 分野가 추가되면서 두 체계가 현재까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硏究 分類에 대한 改正의 意見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標準 分類와의 연계성, 硏究 分類의 連續性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분류 체계의 필요성이 이 課題의 출발점이 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國語學 分野의 下位 領域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現行 分類 體系를 批判的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分類 體系를 분석하였다. 우선 ‘個別 言語名+學問 分野’라는 表記原則에 따라 각 學問分野의 명칭을 전체적으로 통일하여 표기하였고 실제 硏究 分野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應用國語學은 그 下位 領域과 重複이 되므로 삭제하고 國語情報學은 코퍼스언어학의 신설과 함께 삭제하였다. 또 國語敎育學과는 별도로 韓國語敎育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