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종오 시에 나타난 탈분단의 상상력
...평화로운 공존을 염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반드시 통일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남북한이 평화적으로 공존한다면 세계화 시대에 맞추어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가는멋진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가능성의 실현은 당장은 불가능하므로 초국적 자본의 흐름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하종오 시에서 초국적 자본주의의 흐름은 그런 의미에서 탈분단의 가능성을 앞당기는 조건이 된다. 제3국에서는 자국에서는 불가능한 만남이 가능하며, 남북의노동자들이 서로 배려하며 연대할 가능성이 낮은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하
종오의 탈분단의 상상력은 세계 자본주의 시장의 변화를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이 또한 과거의 분단문학이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대립 구도에서만 바라보던 것과는 달라진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