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실천문법(실습생용)> 교재 분석 연구- 김일성종합대학과 김형직사범대학을 중심으로 -
...‘실천문법’의 위상과 의미를, 3장에서는 조선어실천문법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이남의 연구자들에게는 낯선 ‘실천문법’의 위상과 의미를 ‘리론문법, 규범문법, 서술문법, 력사문법, 기능문법,
학교문법’과의 관계 설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천문법을 서술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박재호(2015)와 김철만(2016)에서 공통된 실천문법 교육
내용이 제시되는 방식의 차이를 구체적인 문법 서술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별화된 실천문법 교육 내용인 박재호(2015)의 ‘제6장 동의문구성방법’의 구체적인 문법 서술 양상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금껏 논의되지 못한 이북의 ‘실천문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