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의 재정립 :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을 새롭게 재정립하는 데에 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은 정치의 주체이다. 따라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주체 역시시민이 되어야 한다. 새로운 평화통일교육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과정에서 평화와 인권을 실현하기 위한 윤리적-
정치적 실천을 고민하는 시민을 양성하는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먼저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되어야 한다. 서독(독일)의 정치교육은 1976년 ‘보이텔스바흐 합의’를통해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존중하고 대신에
정치적 양극화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새로운 평화통일교육역시 정치와 교육의 관계를 재설정함으로써
학습자(시민)의
자율성과
주체성을보장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정치와...